제목 | [홍보이야기 11] 사보2019-03-18 10:54:04 |
---|
사보(社報)는 영어로 'House Organ'이라 하며 사전적 의미로는 기업이 종업원과 그 가족을 대상으로 펴내는 정기간행물을 뜻하나, 실질적으로는 기업 뿐만 아니라 모든 조직체가 발행하는 간행물을 통칭하는 것으로 그 개념이 확대돼 사용되고 있습니다.
즉 사보란 기업이나 각 공공단체 등의 조직체가 대내외 공중(公衆)과의 관계개선을 목적으로 발간하는 커뮤니케이션 매체로 홍보 툴 중의 하나로 말할 수 있습니다.
사보는 대상 타겟이 누구인가에 따라 사내보, 사외보, 사내외보(혼합보)로 나뉘어 지고 출판형태에 따라 종이사보와 전자사보로 구별됩니다.
즉 독자의 대상이 조직내부인가 아님 조직외부인가 혹은 조직 내외부를 한방에 노리는 혼합형인가에 따라 사내보 사외보 사내외보(혼합보)로 그 종류가 나뉘어 지고, 출판되어지는 형태가 종이냐 웹이냐에 따라 종이사보와 전자사보로 구별됩니다.
그러나 대상 타겟에 따른 사내/외보 구별은 별의미가 없는 것으로 보는 게 정답일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사내보든,사외보든 배포하는 방식 혹은 활용하는 방법에 따라 대상 타겟이 확대될 수 있기 때문에 타겟 범위를 명확하게 구분 짓기란 쉽지 않기때문입니다.
사보의 기능과 역할은 크게 네 가지로 얘기할 수 있습니다.
첫째,사보는 내부공론의 장으로서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기능을 갖고 있습니다.
조직에 있어 커뮤니케이션이란 한 조직이 조직으로서 기능하는데 없어서는 안될 필수적인 전제 조건으로 마치 인체의 조직 요소 요소를 연결해 주는 신경계통과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즉 조직의 요소 요소들을 수직적으로 혹은 수평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조직의 목적을 향해 기능 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는 것입니다.
정리하자면 사보는 조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조직의 제반활동에 관한 여러 가지 정보를 출판물을 통해 조직내의 상하 좌우 계층의 성원들에게 전달,주어진 공동과제를 수행하는 동시에 조직을 유지시키고, 조직 구성원들의 개인적 필요성이나 욕망을 충족시키는 과정을 담당하는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한 형태 혹은 그 기능을 담당하는 매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둘째,사보는 조직의 고유문화를 창출하고 확산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조직문화란 한 조직체의 구성원들이 공유하고 있는 가치관과 신념,규범과 전통 그리고 기술과 지식 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조직 구성원과 조직체 전체의 행동에 영향을 주는 기본 요소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보는 이러한 조직문화를 창출하고 성장시켜 나가는 중요한 구심점중의 하나로, 조직의 문화를 알려면 그 조직의 사보를 보면 알 수 있다는 말이 있듯 조직문화를 비쳐주는 거울과도 같은 역할을 합니다.
셋째,사보는 구성원 및 가족들의 교양 함양과 조직간 가족간의 이해증진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합니다.
읽을 거리와 함께 자신의 일터를 소개하는 내용을 제공하고, 또 조직 구성원과 가족이 주인공으로 등장함으로써 상호교류의 광장,즉 가정과 일터를 연결시켜주는 다리 역할을 수행하게 됩니다.
넷째,사보의 대외적 기능으로,대외에 조직의 이미지를 제고 시키는 PR의 역할을 합니다.
사보를 통해 공중들에게 조직체의 경영방침,경영철학 등 경영진의 메시지를 포함한 각종 정보 및 엔터테인먼트를 제공해주면서 그들로부터 이해와 협조를 구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또한 사보는 대언론 홍보를 위한 기사발굴의 소스로 활용되기도 하고 역으로 기자들의 경우 사보를 통해 기사소스를 발견하기도 한답니다...가끔은 사보를 통해 특종을 올리기도 하죠.
이것 외에도 사보는 경영지원의 수단으로 활용되기도 하고 기업의 사료(史料)가 되어 사사편찬에 귀중한 자료로 활용되기도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