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홍보이야기 14] IR & IR홍보2019-03-18 10:56:45 |
---|
내 마음은 나그네가 되었고 내 몸만이 여기 있는 것 같아"앙드레 지드의 <좁은 문>에서 제롬 아님 알리사가 한 말 같은디 담배 한대 꼬스리며 창밖에 내리는 빗줄기를 바라보노라니 문득 생각이 납니다.비오는 날...길지 않은 하루를,무너지지 않는 하루를 보내기 바람다...난 걱정 없슴다.어차피 저녁 약속이 있기에.
주가가 기업의 가치를 가름하는 잣대로 인정받으면서,기업이 주식시장이나 투자가로부터 자금을 끌어들이기 위해,기업공개(IPO)나 상장을 앞둔 기업이 기업의 (산술적?)가치를 높이기 위해...
암튼 기업이 주가관리나 원할한 자금조달을 위해서 가장 보편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행위가 IR활동이라 할 수 있습니다.
IR(Investor Relations)이란 기업과 투자자를 연결하는 커뮤니케이션 활동의 총칭으로 기업과 투자자와의 이해관계를 원만하고 확실히 함으로써 기업과 주주,투자자 사이의 신뢰도를 확보하고 그 기업의 가치가 적정하게 평가받아 기업의 자본비용 절감은 물론 주주중시 경영의 시현을 궁극적 목표로 하는 활동입니다
IR홍보란 IR를 백업하기 위한 활동으로 기업과 투자가와 매스미디어를 연결하는 커뮤니케이션 활동이라 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자금부서에서 IR을 담당하고 홍보부서에서 IR홍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엄밀히 얘기하면 IR홍보나 일반홍보나 그게 그거지만...구분을 짓는다면 IR에 좀 더 ORIENTED된 홍보업무를 IR홍보로 보면 될 것 같습니다.물론 IR홍보를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기존에 해왔던 홍보와는 일하는 방법에 있어서나 일하는 바운드리에 있어서나 분명 차이는 있습니다.
간단한 예를 들면,언론에 자료를 릴리스하게 될 경우 출입기자(주로 경제부/산업부)에게만 자료를 배포하던 것을 IR홍보에 있어서는 동일 자료를 증권부기자에게 배포하거나 또는 한다리 걸치는 방법으로 애널리스트에게 자료를 토스,증권부기자가 기사를 받아쓰게 하는 방법도 있지요.
또 홈페이지나 내부 회의 등을 통해 주주나 투자가들이 원하는 내용을 잘 포장해 기사화하는 것도 IR홍보에 있어 중요한 활동중 하나입니다...IR홍보에 대해서는 다음에 별도로 얘기하도록 하겠습니다.
IR 및 IR활동의 목표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말씀드리면,IR활동의 목표는 첫째 주요 투자가(국내외 기관,주주,일반)와 증권 애널리스트 그리고 오피니언 리더와의 지속적인 인적관리를 통해 정보의 원천으로 활용하면서 혹 있을지도 모를 재무위기에 대처하고
둘째 기업에 대한 투자가의 요구사항 및 기업가치 분석자료를 경영자 및 관련부문에 제공하여 기업가치 증대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고
셋째 유상증자,사채발행,해외증권 발행 등에 유리한 입장 확보 는 물론 자금 COST를 절감하고
넷째 일원화된 IR채널을 구축해 투자가에게 일관된 자료를 제공,자료의 대외 신뢰도를 높여 기업 이미지를 고취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IR활동 시 중점으로 추진해야할 내용으로는 첫째 투자가는 중요도별로 등급별 분류하여 전략적으로 관리하고
둘째 주주나 투자가의 의사가 경영층에 제공돼 경영정보 창구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주주나 투자가 동향에 대한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해야하고
셋째 정보의 신뢰성 확보로, 투자가/주주/애널리스트/언론에게 투명한 경영이미지 시현을 위해 투자가 정보 및 제공자료는 정형화된 Q&A와 DB로써 구축돼야 하며
넷째 가급적이면 핵심 임원 및 팀장으로 구성된 'IR위원회'와 같은 내부지원 시스템을 구축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IR활동의 실제 내용은,
첫째 국내외 기업설명회 개최,애널리스트/투자가/오피니언 리더 들을 위한 기업탐방 및 간담회 실시,주요 이벤트 발생시 SPOT IR 진행,Fact Book제작 등 투자가 관리 및 정보 서비스
둘째 증시시황 분석,증권사 리포트 분석,투자가 요구사항 F/U,재무위험 조기 경보,IR 평가서 작성 등 IR보고서 작성 및 피드백
셋째 투자가를 등급별로 DB화,정형화된 Q&A 구비,관리대상 네트웍 구축,정보수집 네트웍 구축 등 네트웍 및 DB구축
넷째 주총준비 및 사업현황 공시업무 등 주주총회 및 공시업무를 들 수 있습니다.
무신 소릴 처주께는지...암튼 IR이란 이런거다 정도만 알면 될 것 같습니다.사실 국내 홍보 역사가 대충 20년 정도가 됐다면 IR의 역사는 10년도 채 되지 않았으니까요.이론은 물론이고 실무적 내용도 제대로 정리된게 없다고 보면 됩니다.
'퍼블리시티 결과에 대한 평가'에 대해 함 쓰기로 했는디...홍보이야기 15 혹은 16에서 함께 고민해볼까 합니다. |